2단계 사업성과

  • 2012년은 2단계 혁신사업의 시작년도로 2단계 사업은 학생들의 전공기초역량을 향상의 기틀을 다지 고 공학교육시스템의 체계화를 위해 정비를 하였던 1단계 사업과 구별되며, 1차년도에서는 융합적 자질 을 갖춘 인재를 갖추기 위한 사업 추진에 주력하였음. 2단계 1차년도의 성공사례와 수혜인원은 다음과 같음


    성공사례1 글로벌 서비스 러닝 강화

    공학교육혁신센터 1단계부터 시작한 4개의 글로벌 서비스 러닝 프로그램을 체계화하여 1) 소외된 90%와 함께하는 공학설계 아카데미 -> 2) GEP 교과목 이수 -> 3) GEP 해외방문전공봉 사 활동 -> 4) 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로 이어지는 선순환 시스템을 갖 추게 됨

    2012-1


    성공사례2 글로벌 의사소통 능력 강화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실무 발표 위주의 영어의사소통 과목인 공학부 전용 English Grammar & Composition 교과목을 시범적으로 운영하였으며, 그 결과를 영어교육과정에 반영하여 공 학도들의 글로벌 리더십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과정 확대 발전을 도모하였음

    2012-2


    성공사례3 이공계 리더십 교과목 및 Career Group Coaching

    리더십 및 인사 경험이 있는 강사를 초청하여 학생들에게 실무 경험을 전수하였으며, 리더십과 인사 분야의 전문 코치가 학생들에게 실제적인 상담 및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였음

    2012-3


    수혜인원

    참여학생
    참여교원
    2,871명350명


  • 2013년은 2단계 혁신사업의 2차년도로 이공계 글로벌 리더십 교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신규 프로그램 을 확대하여 지원하였음. 2단계 2차년도의 성공사례와 수혜인원은 다음과 같음


    성공사례1 소외된 90%와 함께하는 공학설계 아카데미

    제6회 아카데미에서는 설계문제를 이전에 출제된 미리 검증된 문제들을 이용하고 현지 사정을 잘 알고 있는 KOTRA 프놈펜무역관을 통해 제공받아 현장성을 살렸으며, 이전과 다르게 설계 평가 방식을 분야별 예선과 본선으로 나눔으로써 분별력 있는 평가체계를 구성하였음. 설계문 제 팀 중 우수팀을 선발하여 KOTRA 프놈펜의 후원을 받아 캄보디아에 직접 설계 작품을 적용 해보는 파견의 기회를 제공

    2013-1


    성공사례2 해외대학과의 상호방문

    공학도들이 외국학생들과의 협동으로 실무 진행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상호발표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학생들에게 글로벌 협력 능력 향상의 기회 제공하였음

    2013-2


    성공사례3 졸업생-교수 워크숍 개최

    재학생과 교수가 함께 졸업생을 직접 찾아가는 홈커밍데이를 운영하여 유대적인 재학생-졸업생-교수 관계를 형성하였으며, 미리 진출한 졸업생의 의견 청취를 통해 앞으로의 본교의 교육과 정 개선에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는 기회를 마련하였음

    2013-3


    성공사례4 전공 간 융합 캡스톤 프로그램 개발

    공학부와 비공학부가 하나의 팀을 이루어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를 수행하였고, 이는 학생들에게 다학제간 융합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기회 제공하였음

    2013-4


    수혜인원

    참여학생
    참여교원
    5,402명539명



  • 2014년은 2단계 1기 혁신사업의 마지막 단계로서 2012년부터 시작하여 2014년(2차년도)까지 사업을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지원함

    제목 없음
    <그림1. 전공활용의 Global Service-learning 프로그램 운영 체계>

    2단계 3차년도의 성공사례는 1기 사업의 전체적인 성과이며, 성공사례와 수혜인원은 다음과 같음


    성공사례1 전공활용의 Gloval Service-learning 시스템 구축 및 확산

    기업과 사회가 필요로 하는 공학인재는 높은 수준의 전공지식뿐만 아니라, 타 문화권 특별히 제 3세계 국가들의 기초적인 필요 부족, 가난 등의 실제적인 문제해결역량을 갖춘 인재임. 이에 문제해결능력 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의식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국제 전공봉사교육 프로그램을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글로벌 서비스러닝 시스템 구축을 도모하고 학생들에게 단계적으로 제공함

    소외된 90%와 함께하는 공학설계 아카데미
    「소외된 90%와 함께하는 공학설계 아카데미」는 본교에서 구축한 글로벌 서비스러닝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추진한 대표사업으로 적정기술 기반으로 한 단기 공학설계 교육캠프임. 현대기술의 혜택으로부터 소외된 개발도상국의 문제를 전국의 대학생들이 함께 모여 해결책을 모색하는 프로그램

    IMG_4038

    Global Engagement Project 교과목
    「Global Engagement Project 교과목」은 GEP 해외전공봉사활동 프로그램을 보다 체계적인 교육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준비과정을 교과과정화한 것임. 다양한 학부의 학생들이 자신의 전공을 배경으로 협력하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외된 지역의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 준비 및 관련 강의들을 교과목형태로 지원함

    0625 (6)

    해외 공학봉사활동
    「Global Engineering Project 전공봉사활동」은 개발도상국 현지를 직접 방문하여 전공지식을 활용한 봉사를 실천하는 프로그램임. 학생들이 전공지식을 활용하여 소외된 현지 지역의 실제 문제를 해결하도록 지원하였음

    1421885682023

    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
    「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는 적정기술과 관련된 활동을 장려하고자 (사)나눔과기술과 협력하여 공동으로 개최하는 행사로, 국내·외 소외된 이웃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수행된 대학(원)생들의 설계 프로젝트 결과물을 발표하는 대회임

    SAM_4689111


    성공사례2 한동가족회사제도를 활용한 산학협력 교육프로그램 강화

    가족회사와 연구과제 발굴, 산학형 캡스톤설계 프로젝트 추진, 현장실습 등을 체계적으로 운영하여 산학협력 프로그램들이 연계적으로 활성화되도록 함

    제목 없음2


    수혜인원

    참여학생
    참여교수
    3,691명528명


  • 2015년은 2단계 혁신사업의 4차년도로 창의융합설계 아카데미 및 창의설계 경진대회 등과 같은 전국규모의 적정기술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적정기술 기반의 공학설계교육을 확산시켰음. 2단계 4차년도의 성공사례와 수혜인원은 다음과 같음


    성공사례1 소외된 90%와 함께하는 창의융합설계 아카데미

    제 8회 창의융합설계 아카데미는 적정기술과 국제개발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으며, 공학도의 글로벌 리더로서의 소양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글로벌 서비스러닝 교육체제를 구성요소로 포함하고 있음. 창의융합설계 아카데미를 통해 적정기술의 개념을 이용하여 저개발국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공학도는 창의적 전공교육의 효과뿐 아니라 인문사회적으로도 크게 성장하는 기회를 제공

    단체사진


    성공사례2 창의융합교육위원회 기반구축

    다학제적 융합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 교수의 창의 · 융합교육을 구현하기위한 교육협의기구 조직이 필요함에 따라 창의융합교육 및 연구를 위한 협의기구 마련. 교수들의 창의융합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융합교육과정을 강화. 교수들의 창의융합프로젝트의 활성화를 통해 다학제간 창의융합프로젝트 주제 개발 및 결과물 창출. 교수들의 창의융합프로젝트 진행으로 인해 다학제 교수들의 협업 기회 제공. 다학제 교수들의 융합 프로젝트 활성화로 인한 창의융합연구 기반 구축

    창의융합 회의 사진

    성공사례3 글로벌역량 강화를 위한 해외대학과의 협업 프로젝트

    해외대학 학생들과 공동 캡스톤설계 활동을 진행하여, 전공역량 및 글로벌역량 함양. 해외교수 특강을 통해 해외대학 교수와 본교 교수들의 캡스톤설계 지도에 대한 정보 공유 및 유대의 장을 마련. 해외대학 방문을 통해 새로운 해외대학과의 협업프로젝트를 추진하고, 학생들에게 현지상황을 반영한 설계주제를 제공

    탄자니아

    성공사례4 전공 간 연합 해외전공봉사활동 프로젝트

    학생들이 글로벌 관점, 제한된 조건하에서 실제적 문제해결능력 학문 융합적 접근, 섬김의 정신, 타문화권 등에 대해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 현지에 필요한 기술을 조사한 후 설계문제를 도출하고 제 3세계를 방문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이 배운 전공을 활용하고 적정기술 개발에 대한 심도 있는 학습을 함. 현지의 문제점을 현지인이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그들이 자립 할 수 있는 해결방안을 모색하므로 실질적으로 타 문화권을 도울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함. 개발된 적정기술을 가지고 사업으로 발전시키는 방향을 모색하여 현지인이 직접 사업을 이용해 살아 갈 수 있는 사업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함

    KakaoTalk_20160113_185434371

    성공사례5 여학생 현장역량 강화 프로그램 추진

    여학생 현장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통해 공학 진학 · 진로 정보 확산, 멘토링, 여학생 네트워킹, 사회 진출 분위기 조성을 유도하는 프로그램 마련. 특강을 듣고 질문에 개인적인 고민을 상담하며 이공계 여성 전문인의 경험을 나눌 수 있음. 간담회를 통해 학부 재학생과 졸업생이 유대적인 멘토-멘티 관계를 형성. 재학생들은 직장, 연구소에 대한 현실적인 이야기를 준비생으로부터 듣고 취업을 준비하게 됨

    여학생현장역량강화프로그램-3


    수혜인원

    참여학생
    참여교원
    5,163403


  • 2016년은 2단계 혁신사업의 5차년도로 창의융합설계 아카데미 및 창의설계 경진대회 등과 같은 전국규모의 적정기술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적정기술 기반의 공학설계교육을 확산시켰고, 학교 내부적으로도 공학부 전용 영어의사소통 교과목 운영을 통해 각 학문계열별 영어교과목을 개설하도록 대학 내에 교육 개선 및 혁신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음. 2단계 5차년도의 성공사례와 수혜인원은 다음과 같음


    성공사례1 소외된 90%와 함께하는 창의융합설계 아카데미

    제 9회 창의융합설계 아카데미는 적정기술센터(캄보디아, 라오스, 네팔)를 통한 현지문제를 제공한 후 전문가들의 설계문제 해설 및 멘토링을 통해 적정기술 교육을 실시하여 설계교육을 통한 공학설계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다학제적 협업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국내 적정기술 교육 및 연구의 붐을 조성함

    용량수정아카데미-2

    성공사례2 학부생 심화연구활동 지원

    학생들의 발표능력을 향상시키고, 연구결과에 대한 피드백 제공. 학부생을 중심으로 한 연구교육 모델 제시. 심화연구활동을 위한 여건 조성. 공모전 수상, 논문 등재 등의 다양한 성화를 얻음

    성공사례3 산학형 캡스톤설계 프로젝트

    실무적 문제해결역량, 현장역량을 강화하는 기회 제공.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을 파악하여 취업에 도움을 줌. 연구결과가 특허기술 및 산업현장에 채택됨. 다양한 산업체와 선순환적인 산학협력 교육체제를 구축함

    용량수정산학 현장실습-1

    성공사례4 글로벌 서비스러닝 컨퍼런스

    여러 대학 교수, 담당자, 기관 실무자 및 학생 참여로 글로벌 서비스러닝에 대한 관심을 제고함. 글로벌 서비스러닝의 다양한 사례를 공유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여 앞으로 발전방향을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대학 및 기관의 사례발표를 통해 글로벌 서비스러닝의 교육적 성과를 공유하며, 학생들의 발표를 통해 실제 활동과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함.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 서울대학교 글로벌사회공헌단과 컨퍼런스를 함께 개최하여 컨퍼런스 이후에도 지속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함


    수혜인원

    참여학생
    참여교원
    5,163403



  • 2017년은 2단계 혁신사업의 6차년도로 창의융합설계 아카데미 및 창의설계 경진대회 등과 같은 전국규모의 적정기술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적정기술 기반의 공학설계교육을 확산시켰고, 학교 내부적으로도 공학부 전용 영어의사소통 교과목 운영을 통해 각 학문계열별 영어교과목을 개설하도록 대학 내에 교육 개선 및 혁신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음. 2단계 6차년도의 성공사례와 수혜인원은 다음과 같음


    성공사례1 소외된 90%와 함께하는 창의융합설계 아카데미

    제 10회 창의융합설계 아카데미는 적정기술센터(캄보디아, 라오스, 네팔)를 통한 현지문제를 제공한 후 전문가들의 설계문제 해설 및 멘토링을 통해 적정기술 교육을 실시하여 설계교육을 통한 공학설계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다학제적 협업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국내 적정기술 교육 및 연구의 붐을 조성함

    성공사례2 전공 간 연합 해외전공봉사활동 프로젝트

    글로벌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소외된 나라의 현지를 방문하여 지구촌의 다양한 문화경제·사회·기술적 측면을 본인의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현지 문제를 직접 해결하는 봉사를 실천함

    성공사례3 공학부 학생을 위한 English for Academic Purpose 교과목 운영

    설계 프로젝트와 관련된 영어문서 작성 및 발표 기회뿐만 아니라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technical writing skills 및 presentation skills을 갖춘 공대생을 양성하고, 영문이력서 작성법 등에 관한 콘텐츠를 포함한 글로벌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영어 의사소통 방법에 관한 강의를 통하여 현장의 필요에 적합하고 실제 적용 가능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갖춘 공대생을 배양함. 현 공학계열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한 EAP 교과목을 각 전공별(토목공학과, 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과 등) 특수성에 맞는 영어 교과목으로 전환시키는 차후 발전 방향의 Road map으로 활용함

    성공사례4 특허 및 지식재산권 교육 프로그램

    지식재산권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공학부 학생들이 전공 분야에서 창업 및 사업화를 위한 실질적인 정보와 지식이 필요함. 졸업 전 필수과목 수강을 통해 특허 관련 강의를 듣고 명세서 작성 및 출원 등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이해력을 높임

    성공사례5 Peer Tutoring Camp

    혁신센터의 지속적인 지원으로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였고 고학년 학생들이 강의를 주도하여 진행함으로써 수강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지도가 가능하고 학생들의 친밀한 관계 형성에도 도움이 됨. 전반적으로 학생 주도적인 참여가 이루어져서 단순히 전공과목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캠프의 전반적 운영 및 협업에 대한 학습도 가능함


    수혜인원

    참여학생
    참여교원
    5,163403



  • 2018년은 2단계 혁신사업의 7차년도로 소프트웨어/하드웨어 단기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창의융합설계 아카데미 및 창의설계 경진대회 등과 같은 전국규모의 적정기술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적정기술 기반의 공학설계교육을 확산시켰고, 캡스톤디자인 지원을 통한 각종 대회 수상의 쾌거 및 학교 내부적으로도 공학부 및 공학교육혁신센터를 홍보하는 등 대학 내 교육 개선 및 혁신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음. 2단계 7차년도의 성공사례와 수혜인원은 다음과 같음


    성공사례1 소외된 90%와 함께하는 창의융합설계 아카데미

    제 11회 창의융합설계 아카데미는 현대기술의 혜택으로부터 소외된 개발도상국의 문제를 적정기술 개념을 기반으로 해결책을 끌어내는 전국 대학생들 대상의 2박 3일 단기 공학설계 교육을 실시하여 설계교육을 통한 공학설계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다학제적 협업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국내 적정기술 교육 및 연구의 붐을 조성함

    성공사례2 소프트웨어 단기교육과정 개발

    대학 가족회사, 지역기업군, 산학연추진단 등 산업계를 대상으로 미래 신산업 및 신기술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IoT 프로젝트 단기교육과정을 개설하고 Certificate를 부여함.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기술과 미래 일자리 변화에 준비된 인재를 양성하고, 학생 주도적인 참여가 이루어져 단순히 기술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캠프의 전반적 운영 및 협업에 대한 학습도 가능함

    성공사례3 창의형 캡스톤설계 교과목 지원

    공학부 학생들이 다양한 설계 주제를 가지고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으며, 설계를 통해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성과를 얻었음. 공학부 전공별로 캡스톤설계 교과목이 개설되고 정착하여 전공별 특성에 적합한 종합설계 교육과정으로 강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실무 중심의 교육으로 발전하였음. 캡스톤설계 프로젝트 결과물로 각종 대회에서 수상의 쾌거를 이룸

    성공사례4 학부생 연구발표 지원

    캡스톤설계 이후 과정으로 전공 또는 융합 주제 등에 대한 심화연구 및 논문발표 등에 대하여 지원하여 연구 결과에 대하여 외부 평가를 받도록 함. 자신의 학업 결과물에 대한 피드백을 통하여 자신의 역량을 평가받으며, 수상을 통하여 자신의 역량에 대한 자신감을 가짐. 학부교육중심대학으로서 학부생을 중심으로 한 연구교육의 모델을 제시함


    수혜인원

    참여학생
    참여교원
    5,163403